[CISCO2]_#02_[VLAN, Access port, Trunk port, VTP, Inter VLAN, Cisco 전용 protocol, CDP, NAT, PAT, DHCP]
(1) Access Port - 하나의 port가 하나의 vlan에 속한 경우. - 즉, 해당 포트는 자신이 속한 VLAN 네트워크 Frame만을 전송할 수 있다. - L3 장비를 거치지 않을 경우 같은 VLAN에 할당된 Interface에 접속된 장비들끼리만 통신이 가능. (2) Trunk Port - 하나의 Port에 여러개의 VLAN Frame이 흘러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경우. - Switch 와 Switch가 하나의 Port로 연결돼 있는 경우, 해당 port에 switch에 설정된 여러개의 vlan frame이 모두 흘러다녀야 두 대의 switch 에 설정된 각 vlan별로 통신이 가능. - 즉, 다수의 같은 vlan이 여러개의 switch에 존재할 경우 trunk port를 통해 각 switc..
2021.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