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e]_Network_#06_[Ethernet header, MTU, ARP header, HDLC/PPP header, IP header, VPN, TTL, ping, TCP header]
1 계층에서의 PDU 는 프레임과 물리계층 헤더가 붙어져 만들어진다. 이때, 프레임은 패킷, 데이터링크 헤더(Ethernet header), 트레일러(FCS)으로 이루어지는데, 패킷은 세그먼트와 Network header로 이루어지고, 세그먼트는 Message와 Transport header로 이루어진다. 즉, 패킷은 세그먼트, Network header, Tranport header 이루어지는데, 이때, N-h 와 T-h 가 각각 20bytes씩 총 40bytes를 차지한다. 패킷은 보통 1500bytes가 MTU(Maximum Transport Unit)인데, (원래는 1518bytes이다.) N-h 와 T-h가 차지하는 부분으로 인해 총 1460bytes가 최대 전송 단위가 된다. ex) 1500b..
2021. 11. 21.
[CISCO1]_#09_[Packet tracer, straight, cross over, Router, Switch, Laptop, PC, IP부여, ping]
에 콘솔로 을 연결해주고, 에 과 을 FastEthernet으로 연결해준 모습이다. 이 그림은 Router와 Switch도 연결한 상태인데, 자세히 보면 Router와 Switch 사이는 연결이 되지 않고 있고(빨강색), Switch와 PC사이는 연결이 잘 되고 있다(녹색). 위 그림에서는 Router와 Router 까지도 연결해주고 있다. 이때, Router와 Router 사이는 직선이 아니라 점선인데, 이 선은 cross over 선이라고 부른다. PC와 Switch사이의 직선과 같은 선은 straight선이라고 부른다. cross-over 사용 경우 : 호스트가 같은 경우 straight 사용 경우 : 호스트가 다른 경우 1계층 장비는 연결하면 바로 살아난다(연결된다). 2계층 장비는 연결하면 생각..
2021.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