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e]_Network_#05-2_[IP 부여 과정, DHCP, NAT, Static nat, Dynamic NAT, PAT, CMD 명령어, ipconfig 옵션, netstat, arp -a ]
* IP 부여 과정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A class ~ C class : 공인 IP (이 중 공인 IP로 쓰이지 않는 IP를 사설IP 라 한다.) DHCP IP를 효율적으로 사용(IP를 절약 가능.) NAT 사설 IP와 공인IP를 짝지어줌. 장점 : 1. IP 주소 효율적 사용 2. 보안 강화(방화벽)(내부에서 외부로는 접속가능하지만, 외부에서 내부로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https://aawjej.tistory.com/139 --> 이 포스팅에서 NAT에 대해 다루었으니 자세한 내용은 확인가능하다. https://aawjej.tistory.com/140 [CISCO1]_#18_[port address translation, PAT, 라우터에의 SSH, 스위치에의 SSH..
2021. 11. 20.
[CISCO2]_#02_[VLAN, Access port, Trunk port, VTP, Inter VLAN, Cisco 전용 protocol, CDP, NAT, PAT, DHCP]
(1) Access Port - 하나의 port가 하나의 vlan에 속한 경우. - 즉, 해당 포트는 자신이 속한 VLAN 네트워크 Frame만을 전송할 수 있다. - L3 장비를 거치지 않을 경우 같은 VLAN에 할당된 Interface에 접속된 장비들끼리만 통신이 가능. (2) Trunk Port - 하나의 Port에 여러개의 VLAN Frame이 흘러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경우. - Switch 와 Switch가 하나의 Port로 연결돼 있는 경우, 해당 port에 switch에 설정된 여러개의 vlan frame이 모두 흘러다녀야 두 대의 switch 에 설정된 각 vlan별로 통신이 가능. - 즉, 다수의 같은 vlan이 여러개의 switch에 존재할 경우 trunk port를 통해 각 switc..
2021. 8. 15.